반응형
[2021-09-04] 처음 작성
소나무 기운 , 전자제품 개발/생산
변수 선언, 변수 사용
변수의 선언 방법에 대해서 설명, 선언시 변수형을 지정하는 방법, 변수를 이용한 연산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변수 선언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드는 법은 간단합니다.
변수 이름 = 값
이렇게 선언하면 값에 해당하는 변수형의 변수를 생성하고 값을 입력하게 됩니다.
>>> pi = 3.14
>>> print(pi)
3.14
>>> pi = pi + 1
>>> print(pi)
4.140000000000001
>>> i = 5
>>> print(i)
5
>>> pi = pi + i
>>> print(pi)
9.14
>>> print("실수 = ", pi)
실수 = 9.14
" 변수 이름 = 값 " 으로 표시하며
값에 따라 변수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3.14를 넣으면 실수, 5를 넣으면 정수, "문자열"을 넣으면 str 형이 됩니다.
변수의 사용
숫자형 변수(정수 , 실수)끼리의 연산, str 형 변수 끼리의 연산이 가능합니다.
>>> a = 1
>>> b = 2
>>> a + b
3
>>> strA = "I am"
>>> strB = " a boy!"
>>> strA + strB
'I am a boy!'
복합대입 연산자
A = A + B 라는 문구를 복합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면
A += 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제곱근
사용자 입력 받기
input() 함수로 사용자에게 키보드로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입력받은 데이터를 문자열형으로 저장받습니다.
입력받는 글자는 문자이거나 숫자가 입력되더라도 변수형은 문자열입니다.
>>> string = input("입력하고 엔터를 치세요.")
입력하고 엔터를 치세요.문자열
>>> print(string)
문자열
>>> print(type(string))
<class 'str'>
>>> i = input("숫자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세요.")
숫자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세요.123
>>> print(i)
123
>>> print(type(i))
<class 'str'>
문자를 숫자로, 숫자를 문자로 바꾸기
숫자형 자료를 문자열 자료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습니다.
>>> i = 123
>>> print(type(i))
<class 'int'>
>>> s = str(i)
>>> print(s, type(s))
123 <class 'str'>
>>>
>>>
>>> s = "999"
>>> print(type(s))
<class 'str'>
>>> i = int(s)
>>> print(i, type(i))
999 <class 'int'>
마무리
변수형 선언, 대입, 변수간의 연산, 변수형의 변환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참고문헌
반응형
'Python, C,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만 파이썬] if문 (0) | 2021.09.13 |
---|---|
[요점만 파이썬] 숫자 사용, 문자열 사용. (0) | 2021.09.06 |
[요점만 파이썬] 자료형 & 숫자 (0) | 2021.08.27 |
[요점만 파이썬] 자료형이란? & 문자열 공부 (2) | 2021.08.26 |
[요점만 파이썬] 단어 표시 방법 snake case, camel case (0) | 2021.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