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 Brain/Obsidian
Obsidian은 어떤 파일 형식을 쓸까?
소나무기운
2025. 7. 6. 19:39
반응형
[2025/07/06] First Start.
소나무 기운 , 전자제품 개발/생산
Obsidian은 어떤 파일 형식을 쓸까?
노트 앱 그 이상을 만드는 .md 파일의 힘
Obsidian을 처음 써보면 “이거 노트 앱 맞아?” 싶을 정도로 유연하고 강력하죠.
그 핵심에는 아주 단순한 파일 구조가 숨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Obsidian이 사용하는 파일 포맷의 구조와 특징을 정리해봅니다.
🗂️ Obsidian 노트는 사실 그냥 .md 파일입니다
소제목 1 첫줄 Obsidian은 모든 노트를 Markdown 형식의 .md 텍스트 파일로 저장합니다.
즉, 어떤 노트든 일반 텍스트 에디터(예: VS Code, 메모장)로 열어볼 수 있고,
Obsidian 없이도 언제든지 백업하거나 복구가 가능합니다
🧱 파일 구조: 기본은 텍스트, 옵션은 YAML
1. 본문 내용
Markdown 형식으로 작성한 텍스트. 제목은 #, 리스트는 -, 강조는 **굵게** 등등 일반적인 Markdown 문법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 회의록 2025-07-01
- 안건: 신제품 출시 일정
- 참석자: 김철수, 박지현
2. YAML 프론트매터 (Frontmatter)
노트 상단에 ---로 감싸진 메타데이터 블록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
tags: [회의, 일정]
aliases: [2025 회의, 7월 회의록]
created: 2025-07-01
---
이 부분은 Obsidian 내부 검색, 정렬, 플러그인 기능 등에서 활용됩니다.
💡 Obsidian 파일 포맷의 특징
- 💾 로컬 우선: 모든 노트는 로컬 폴더(“Vault”)에 저장됩니다.
- 🧭 폴더가 곧 구조: 폴더 구성이 그대로 사이드바에 반영됩니다.
- 🔗 링크는 [[이름]]: 노트 간 연결은 내부 링크 형식으로 연결.
- 🔍 검색 및 연결이 빠름: 모든 노트가 텍스트 기반이므로 검색 속도가 빠릅니다.
- 🔄 백업, Git 연동 쉬움: 텍스트 파일이라 버전 관리가 완벽하게 됩니다.
소제목 1 ✏️ 파일 포맷이 주는 실질적 장점
- 다른 앱으로 전환해도 호환성이 좋습니다.
(예: VS Code, Typora, Logseq 등) - 클라우드 싫은 사람도 마음 편히 로컬 저장 가능
- 장기 보존에 최적화 (플랫폼 의존도 낮음)
✅ 마무리
Obsidian은 단순한 노트 앱이 아니라, 텍스트 기반 지식 관리 시스템입니다.
복잡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단순한 .md 파일을 바탕으로
링크, 검색, 태그, 플러그인을 조합해 유연한 정보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노트를 자주 백업하거나, Git으로 관리하고 싶은 분이라면
이런 파일 구조는 정말 매력적인 요소예요.
참고문헌
틀린 부분이나 질문은 댓글 달아주세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